자세한 설명은 도움말 을 참고해주세요
여름철 강력한 햇살로부터 우리의 피부를 보호해주는 자외선 차단제는 크게 선블록과 선스크린(선크림) 두 종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 선블록과 선스크린 두 가지 모두 결국 ‘자외선 차단제’를 뜻합니다. 한 때 자외선을 반사한다는 의미로 물리적 필터를 주로 사용한 제품을 ‘선블록’, 자외선을 흡수하는 화학적 필터 제품을 ‘선스크린’이라 표현했습니다. 두 제품의 차이가 무엇인지, 어떤걸 바르는 게 더 나을지 알아보겠습니다.
선블록과 선스크린이 핵심적으로 다른 점은 피부를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하는 방법입니다. 선블록 제품은 문자 그대로 태양을 ‘블록’하여, 징크 옥사이드, 티타늄 디옥사이드 같은 미네랄 성분이 피부에 물리적으로 막을 쳐서 자외선을 차단합니다.
반면 선스크린 제품에는 옥틸 살리실레이트, 옥틸 메톡시신나메이트, 에캄슐 같은 유기 화합물이 들어 있습니다. 이런 성분이 피부에 앞서 자외선을 흡수, 화학 반응을 통해 열로 바꾼 다음 밖으로 내보내는 것 입니다.
원래 선블록 제품은 UVB를 차단해 햇볕 화상을 막기 위해, 선스크린 제품은 UVA를 차단해 주름 등 피부 손상을 막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다행히도 요즘 나오는 제품들은 둘 중 어느 쪽에 속하든 대개 화상과 피부 손상, 양쪽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합니다.
선블록 제품을 바르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넉넉하게 쭉 짜서 얼굴이든 몸이든 펴 바르면 끝. 위에서 언급했듯 물리적으로 ‘막’을 치면 됩니다. 그러나 선스크린 제품은 피부에 흡수된 후에야 작동합니다. 따라서 꼼꼼하게 문지르는 게 중요하며, 외출하기 30분 전에 바르는게 좋습니다.
선블록 제품을 바르면 백탁 현상이 생깁니다. 즉 얼굴이건 팔다리건 제품을 바른 부위가 허옇게 될 수 있습니다.
반면 선스크린에 제품을 바르면 피부에 매끈하게 스며들어 백탁현상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대신 피부에 따라 가렵거나 따갑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피부과 전문의 설명에 따르면 “민감한 피부의 경우, 선스크린 제품에 든 화학 성분이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선블록 vs. 선스크린. 어떤 걸 바르는 게 좋을까요? 피부과 전문의는 “사람에 따라 다르다”고 말합니다. “로션이나 크림을 고를 때와 마찬가지로 성분이나 질감을 꼼꼼하게 살펴서 자기에게 맞는 제품을 고르는 게 정답”이라는 것. 입니다.
중요한 건 어떤 종류든 자외선 차단지수(SPF)가 30 이상이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여름이든 겨울이든 밖에 나갈 땐 자외선 차단제를 바를 것. 해가 나지 않는 날도 마찬가지 입니다. 구름은 자외선을 어느 정도 차단할 뿐, 온전히 막아주지는 못합니다.
A, B and C?
자외선의 파장은 길이에 따라 UVA, UVB, UVC로 나뉩니다. 그 중 UVA는 지구에 도달하는 자외선의 약 95%를 차지하는데, 이는 인체에 와 닿는 UVB의 약 20배에 해당하는 양 입니다. 또한 UVB는 피부의 표피층까지만 흡수되는 반면, UVA는 피부 속까지 침투하여 표피와 진피 모두에 영향을 미친다고 합니다. 피부 표면의 그을음(‘B’urn)과 피부 노화(skin ‘A’ging), 알레르기(‘A’llergy)의 원인이 된다고 기억하면 쉽습니다. UVC는 오존층에서 거의 흡수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인체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SPF(Sun Protection Factor)
UVB를 차단하는 강도를 나타내는 지수입니다. 숫자가 커질수록 효과도 증가하지만, 정비례하지는 않습니다. SPF 50 이상인 경우는 50+로 표시합니다.
PA(Protection grade of UVA)
일본화장품공업연합회의 UVA 차단 지수 측정 방법을 기준으로 한 표기법 입니다. PA+, PA++, PA+++의 3단계로 나뉘며, +의 개수가 많을수록 차단 효과가 높은 것을 뜻합니다.
PPD(Persistent Pigment Darkening Method)
유럽에서 주로 사용하는 UVA 차단 지수. 숫자로 표시되며, 2부터 100까지 치밀하게 나눠져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PPD 지수는 SPF 지수의 최소 1/3 이상이 되도록 가이드라인을 잡고 있습니다. 또한 PPD를 기준으로 PA 지수 등급이 책정되기도 합니다(PPD 2~4는 PA+, PPD 4~8은 PA++, PPD 8 이상은 PA+++).
맑은 날 VS 흐린 날
피부 진피층에 침투해 노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UVA는 오존층과 구름, 유리창까지 투과합니다. 그뿐 아니라 봄, 여름, 가을, 겨울 할 것 없이 1년 내내 동일한 양이 지구에 전달됩니다. 날이 맑거나 흐림에 상관없이 해가 뜨고 지는 동안에는(심지어 실내에서도) 늘 자외선 차단제가 필요하다고 강조하는 것은 바로 이 때문입니다.
백탁 현상?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면 피부가 하얗게 변하는 현상을 가리키는 말 입니다. 티타늄디옥사이드(이산화티탄), 징크옥사이드(산화아연)와 같은 물리적 필터 성분(논케미컬)을 함유한 제품일수록 심하게 나타납니다.
정부 부동산 정책과 주식 양도세에 반대하는 '조세저항 국민운동' 뜻 (0) | 2020.07.14 |
---|---|
‘둔촌주공아파트’ 재건축, 총회 취소로 분상제 전 7월 중 분양 물거품 (0) | 2020.07.09 |
삼성전자 하반기 스마트폰 라인업! 갤럭시 노트 20·폴드2·Z플립 5G·S20 FE (0) | 2020.07.01 |
2020년 장마 기간은? 2020 여름 기온 온도 전망 및 강수량 전망 (0) | 2020.06.20 |
동상이몽2 박성광 아내 이솔이 직업 한미약품 그리고 결혼 스토리 (1) | 2020.06.19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