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세한 설명은 도움말 을 참고해주세요
추분은 백로와 한로 사이에 있는 24절기의 하나로, 16번째로 태양 황경이 180도가 되는 때를 의미합니다. 보통 양력으로는 9월 23일 무렵입니다. 춘분과 추분을 흔히 이분이라고 총칭하는데, 하지 이후 낮의 길이가 조금씩 짧아져 추분이 되면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지게 됩니다.
춘분으로부터 꼭 반년째 되는 날로 낮과 밤의 길이가 똑같습니다. 추분이 지나면 점차 낮보다 밤이 길어지므로 계절의 기준이 되기도 합니다. 이때부터 논밭의 곡식을 거두어 들이고, 각종 여름 채소들과 산나물 등을 말려두어 겨울에 대비합니다.
유래
'추분'이라는 말은 가을(秋)의 분기점(分)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고 합니다. 중국의 전통의학서인 <황제내경(黃帝內經)>(기원전 475~221), 당나라의 역사서인 <구당서(舊唐書)>(945), 원나라의 <수시력(授時曆)>(1281) 등 여러 문헌에서 추분 기간을 5일 단위로 3후로 구분하고, 초후(初候)에는 우레 소리가 그치고, 중후(中候)에는 동면할 벌레가 흙으로 입구를 막으며, 말후(末候)에는 땅 위의 물이 마르기 시작한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추분 기간에 대한 이런 묘사가 조선 초 이순지(李純之) 등이 펴낸 <칠정산내편(七政算內篇)>(1444) 등 한국의 여러 문헌에도 인용되고 있는데, 중국 문헌의 절기는 주(周)나라 때 화북(華北, 지금의 화베이 지방으로 베이징과 텐진이 있는 지역) 지방의 기후를 기준으로 기술된 것이어서 한국의 기후와는 차이가 있습니다.
풍속
추분은 낮과 밤의 길이가 같으므로 이날을 중심으로 본격적으로 가을이 시작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밖에 추분을 기념하는 특별한 민간 풍속이 있지는 않으나, 조선 중기의 문신 신속(申洬)이 펴낸 <농가집성(農家集成)>과 이 책에 포함된 <사시찬요초(四時纂要抄)> 등에 의하면, 이 무렵의 시절 음식으로는 버섯 요리가 대표적이며, 추수에 힘써 논밭의 곡식을 거두어 들이고, 각종 여름 채소들과 산나물 등을 말려서 겨울철을 위해 비축했다고 합니다.
추분 즈음이면 논밭의 곡식을 거두어들이고, 목화를 따고 고추도 따서 말리는 등 잡다한 가을걷이 일이 있습니다. 호박고지·박고지·깻잎·호박순·고구마순도 이맘때 거두어들여야 하지만 산채를 말려 묵은 나물을 준비하기도 합니다.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는 추분을 맞아 인간의 수명을 관장하는 별인 노인성(老人星)에 국가에서 제사를 지냈습니다. 노인성은 남반구의 별자리에 있는 별인데 한반도에서는 여름철에는 보이지 않고, 제주도와 남해에서 추분과 춘분 사이에만 관찰이 가능합니다. 추분에 노인성이 나타나면 길하다고 보아 국가의 평안과 국민의 안녕을 비는 제사를 지냈습니다. 추분에 부는 바람이 건조하면 다음 해에 풍년이 든다고 보았습니다. 조선 후기 다산 정약용의 아들 정학유(丁學游)가 지은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중 '8월령(음력이므로 대체로 양력 9월 무렵에 해당)'에 백로 추분 절기에 대한 당시 농촌 풍습이 전해지기도 합니다.
‘철종실록’ 10년(1859년) 기록에 보면 "(임금께서) '성문의 자물쇠를 여는 데 대해 의견을 모으라고 하시면서 종 치는 시각은 예부터 전해오는 관례에 따라 정하여 행하라는 가르침이 있었습니다. 추분 뒤에 자정(子正) 3각(三刻)에 파루를 치게 되면, 이르지도 늦지도 않아서 딱 중간에 해당하여 중도(中道)에 맞게 될 것 같다"라는 내용이 보입니다. 이 기록처럼 추분 날 종 치는 일조차 중도의 균형 감각을 바탕에 깔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더도 덜도 치우침이 없는 날이 추분이므로 그 어느 쪽으로도 기울지 않는 곳에 덕(德)이 있다는 뜻의 중용과 일맥상통하는 날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런가 하면 추분엔 향에 대한 의미도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추분의 들녘에 서면 벼가 익어가며 구수한 냄새가 나는데 그 냄새를 한자 말로 '향(香)'이라고 합니다. '벼 화(禾)' 자와 '날 일(日)' 자가 합해진 글자이지요. 한여름 뜨거운 해의 사랑을 받으며 자란 벼는 그 안에 진한 향기를 잉태합니다.
고속도로에서 단속 카메라 앞 ‘잠깐 감속’ 후 다시 과속 이제 끝? (0) | 2020.10.27 |
---|---|
나만 몰랐던, 달라진 도로 표지판 이야기 (0) | 2020.10.24 |
9월 7일 백로(白露)는 어떤 의미의 날 일까요? (0) | 2020.09.07 |
고양 창릉지구, 부천 대장지구 계획 완료로, 3기 시도시 5곳 도시기본구상 모두 완료 6만 가국 사전 청약 예정 (0) | 2020.09.01 |
‘바비’ 보다 셀 거라는 제 9호 태풍 ‘마이삭(Maysak)’ 과 제 10호 태풍 ‘하이선(Haishen)’ (0) | 2020.08.27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