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세한 설명은 도움말 을 참고해주세요
우리나라도 최근 이상 한파와 강설량 증가가 이어지며 윈터타이어의 중요성과 수요가 매년 꾸준히 증가하는 실정입니다. 윈터 타이어는 이제 안전운전을 위한 필수 요소로 자리잡아 가고 있는 모습인데요. 그래도 마음 한 편에는 굳이 돈 들여가며 타이어를 바꿀 필요가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드는데요, 하지만 전문가들은 겨울에는 낮은 온도에서도 성능이 저하되지 않는 윈터타이어를 사용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겨울철 노면 상태는 시시각각 달라지는 기후 때문에 불안정해지기 일쑤입니다. 눈이 비가 되기도 하고 빗길이 얼어 빙판길로도 변한고요, 이러한 예측 불가 상태는 교통안전을 크게 저해하는 요소들입니다.
겨울철 운전이 특히 위험한 이유는 타이어와 지면 간 마찰력이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타이어의 마찰력은 주원료인 고무의 특성 때문에 온도와 노면 상태에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기온이 높으면 부드러워 접지력이 함께 높아지지만, 기온이 낮으면 딱딱해져 조향이나 제동이 원하는 만큼 이뤄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사고로 이어지기 쉽게 됩니다.
윈터타이어는 변화무쌍한 겨울철 노면에 최적화된 제품입니다. 눈길에서도 안정적으로 주행할 수 있고 낮은 기온에서도 최적의 성능을 발휘합니다. 윈터타이어는 특수 고무 컴파운드를 배합해 섭씨 7도 이하의 낮은 온도에서도 쉽게 경화하지 않습니다.
이로 인해 눈길에서 시속 40킬로미터로 달리다 제동한 경우 윈터타이어의 제동거리는 18.49미터인 반면 사계절 타이어의 경우 37.84미터까지 늘어나 두 배가 넘는 차이를 보여줍니다. 빙판길에서 시속 20킬로미터로 달리다 제동했을 때도 윈터타이어는 사계절 타이어보다 약 14퍼센트 정도 짧은 제동거리를 기록합니다.
윈터타이어는 영하의 기온과 눈길, 빙판길에서도 탁월한 제동력을 발휘해야 합니다. 이에 최적의 고무성분과 트레드(Tread: 노면과 닿는 타이어 표면) 디자인 및 구조를 적용합니다.
윈터타이어는 빙판길과 눈길에서 노면과 마찰할 때 고무의 반발력을 낮춰야 하고, 저온에서도 딱딱하게 굳거나 얼지 않아야 하기에 고무는 유연성이 높은 쪽의 고무를 사용합니다.
윈터타이어 트레드 표면에는 뛰어난 마찰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 수많은 커프(트레드 표면에 새겨진 미세한 홈)가 삽입됩니다. 타이어 전면에 들어간 4줄의 넓은 직선 그루브(타이어 홈)는 배수성능을 발휘해 눈이나 빙판이 녹으면서 타이어와 도로 사이에 형성되는 수막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접지력을 향상시킵니다.
윈터타이어 교체시 앞바퀴 혹은 뒷바퀴 두 개에만 사용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이렇게 하면 오히려 더 위험할 수 있다고 합니다. 앞바퀴 두 개만 윈터타이어로 교체하면 앞바퀴 접지력은 증가하는 반면, 뒷바퀴 접지력은 낮은 상태가 되어서 급격하게 코너를 돌면 원심력에 의해 차선을 이탈할 수 있다고 합니다.
반대로 뒷바퀴 두 개만 윈터타이어를 사용하면 뒷바퀴 접지력은 높고, 앞바퀴 접지력은 낮아지게 됩니다. 이 때 급하게 코너를 돌면 차체 제어가 불가능한 상황에 빠져 차체 앞 쪽이 도로 밖으로 벗어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윈터타이어는 네바퀴 모두 사용해야 합니다.
겨울철 미끄러짐 방지를 위해 타이어 공기압을 평소보다 낮춰서 주행하는 사람도 있는데 이는 절대 금물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하면 오히려 타이어 파열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또한 트레드 마모한계선(트레드 깊이 1.6밀리미터)이 넘은 타이어는 제 성능을 발휘할 수 없으니 반드시 교환해야 합니다. 혹 당장 교환이 어렵다면 최소한 눈길이나 빙판길에서라도 사용하지 말아야 합니다.
타이어 공기압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스레 감소합니다. 겨울철에는 특히 수축 현상이 심해 더욱 빨리 줄어드니 주기적으로 체크해 조정해야 합니다. 아울러 수시로 얼었다 녹았다를 반복하면 타이어 마모도 심해질 수 있습니다. 접지력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이유입니다.
윈터타이어로 교체하면 기존에 끼우고 있던 타이어는 어떻게 하나 염려하는 운전자들이 꽤 많습니다. 최근에는 윈터 타이어로 교체하면 원래 끼우고 있던 사계절 타이어를 보관해주는 서비스가 보편화 돼 있습니다. 보관료는 실내 보관 기준으로 보통 10만원 안팎인데요, 겨울은 낮은 기온과 급격한 온도 변화로 타이어 컨디션 유지에 불리하기 때문에 외부 보관보다는 대개 실내 보관이 좋습니다.
기아자동차, 준중형 SUV ‘2021 스포티지’ 출시 가격 변경내용 정리 (0) | 2020.09.24 |
---|---|
람보르기니 우르스 닮은, 플래그십 럭셔리 SUV ‘아우디 Q8’ (0) | 2020.09.23 |
전기차 EV 충전소를 찾아주는 앱, EV인프라 T맵 카카오내비 아틀란 (0) | 2020.09.19 |
새로운 투자자 찾는 쌍용자동차 상황과 내년까지 출시될 쌍용차 신차 4종 (0) | 2020.09.18 |
‘자동차365’, 온라인 자동차 신규 등록 때 차 번호 10개 중 선택 가능 (0) | 2020.09.17 |
댓글 영역